벡터내 데이터 접근
벡터는 [ ] 안에 인덱스를 적어서 각 요소를 가져올 수 있다. 이때, 인덱스는 다른 언어와 달리 1 로 시작한다
> x <- c ( " a " , " b " , " c " ) > x [1] [1] " a " > x [3] [1] " c "
또 ‘-인덱스’ 와 같이 음수의 인덱스를 사용해 특정 요소만 제외할 수도 있다.
> x <- c ( " a " , " b " , " c " ) > x [ -1] [1] " b " " c " > x [ -2] [1] " a " " c "
위의 코드에서 x[-1]은 제일 첫번째 요소인 “a”를 제외한 경우이고, x[-2]는 두번째 요소인 “b”를 제외한 경우이다. 벡터의 여러 위치에 저장된 값을 가져오려면 ‘벡터명[색인 벡터]’의 형식을 사용한다.
> x <- c ( " a " , " b " , " c " ) > x [ c (1 , 2) ] [1] " a " " b " > x [ c (1 , 3) ] [1] " a " " c "
‘x[start:end]’ 를 사용해 start부터 end까지 (end에 위치한 요소 포함)의 데이터를 볼 수도 있다.
> x <- c ( " a " , " b " , " c " ) > x [1:2] [1] " a " " b " > x [1:3] [1] " a " " b " " c "
벡터의 각 셀에 names()를 사용해 이름을 부여해 두었다면, 이 이름을 사용해 데이터를 접근 할 수 있다
벡터의 길이는 length() 또는 NROW() (대문자임에 주의!) 를 통해 알 수 있다. 본래 nrow()는 행렬(Matrix)의 행의 수를 알려주는 함수이지만 nrow()의 변형인 NROW()는 인자가 벡터인경우 벡터를 n행 1열의 행렬로 취급해 길이를 반환한다.